관계정리 2

미니멀리즘과 인간관계의 ‘거리두기’ – 덜 친하니 더 편하다

사람 사이도 정리가 필요하다는 것을 뒤늦게 알았다 고등학교 시절, 나는 사람을 많이 알아야 세상에서 외롭지 않을 거라고 생각했다. 연락처 목록이 많고, 약속이 빼곡히 잡힌 주말이 자랑처럼 느껴지던 시기도 있었다. 하지만 어느 날부터 그런 관계들이 점점 부담스러워졌다. 소중한 사람보다는 소모적인 관계가 더 많다는 걸 느꼈다. 또한, 어떤 대화는 만나기 전부터 피곤함이 앞섰다. 미니멀리즘을 삶에 도입하면서, 나는 단순히 물건만이 아니라 인간관계도 정리가 필요하다는 사실을 체감했다. 물건은 주로 눈에 보이지만, 사람과의 관계는 마음속에 남는다. 그래서 더 어렵고 더 지치게 만든다. 내가 직접 정리해보지 않으면 결코 줄어들지 않는 감정적 부채가 쌓여가는 것이 바로 인간관계이다. 이 글에서는 내가 어떤 과정을 통..

퇴사 후 6개월, 미니멀리즘이 아니었으면 못 버텼다 – 불확실한 시간을 버틴 방식

비워진 통장과 비워낸 집, 그 사이에서 시작된 삶의 전환 내가 퇴사를 결심했을 때 가장 먼저 마주한 감정은 해방감이 아니라 막막함이었다. 매달 들어오던 급여는 멈추었고, 친구들에 비해 느리다고 생각했다. 회사에서 일하면서 빠르게 가던 순간은 갑자기 느리게 흐르기 시작했다. 또한, 내가 앞으로 무엇을 먹고살아야 할지에 대한 방향성도 없어졌다. 퇴사 후의 처음 몇 주간은 쉬면서 그동안의 피로를 충전한다고 생각했다. 하지만, 쉬는 순간에도 회사에서 휴가를 주는 것과는 다르게 불안함이 계속 찾아왔다. 나는 그 불안을 막기 위해 무언가를 계속 소비하려 했다. 맛있는 것을 사 먹고, 집 안을 꾸미기 위한 물건을 샀다. 하지만 공허함은 채워지지 않았다. 오히려 방은 점점 어지러워졌고 회사를 다닐 때보다 지출은 늘어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