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정 정리 2

미니멀리즘이 자존감을 회복한 이야기 - 덜어냄이 만든 진짜 나

나가 줄인 건 물건이 아니라, 나를 깎아먹는 감정이었다 대학생 시절, 나는 쇼핑을 정말 자주 했다. 용돈을 받는 날이면 미리 위시리스트에 담아둔 옷을 하나씩 구매했다. 색상이 다르다는 이유만으로 같은 치마를 여러 벌 사는 일도 있었다. 결국 월말이면 항상 용돈이 부족했고, 나의 스트레스를 소비로 풀었던 악순환이 반복되었다. 취직한 이후에도 상황은 비슷했다. 피곤한 날에는 예쁜 옷을 클릭했고, 일이 힘든 날엔 향초나 노트, 인테리어 소품들로 공간을 꾸몄다. 물건을 사고 나면 당장은 기분이 좋아졌지만, 며칠이 지나면 다시 허전해졌다. 그리고 그 허전함을 또 다른 소비로 메우는 악순환은 계속됐다. 지금 돌이켜보면, 그것은 '자존감이 아니라 ‘소비로 포장한 자아’였다.나는 명품을 갖고 있으면 더 나은 사람이 될..

물건 100개로 살아본 30일 – 실제 도전기

미니멀리즘, 생각이 아닌 삶이 되어버린 순간 나는 언젠가부터 '정리, 정리함' 등을 검색하고 있었다. 유튜브 속에서 잘 정리된 발코니의 모습을 보면서 희열을 느끼기도 했기 때문이었다. 나의 작은 원룸이 답답했기 때문만은 아니었다. 물리적인 좁음보다 더 답답한 건 내 마음이었다. 퇴근 후 아무 생각 없이 널브러진 물건들 사이에서 하루를 보내다 보면, 이게 정말 내가 선택한 삶이 맞는 걸까 하는 의문이 들곤 했다. 피곤한 마음에 정리하지 않고 퇴근하고 난 우리 집을 보면 정신이 없었던 적도 많았다. 그러던 어느 날, 물건 100개로 살아보는 실험을 제안한 외국 유튜브 영상을 우연히 보게 되었다. 흥미로웠다. 동시에 무서웠다. 나는 지금 몇 개의 물건과 함께 살고 있는 걸까? 셀 수 없을 정도로 많은 물건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