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니멀리스트는 결국 물건을 버리는 사람이다
이사 전날 밤이었다. 10년 만에 이사하기로 결심하고, 이사를 가면서 내 방의 크기가 좁아지게 되었다. 이로 인해, 정리를 하고자 마음을 먹었다. 수납장부터 정리를 하고자 결심하고 잡화 상자를 열었다. 그 안에서 2년 동안 본 적도 없는 공책과 엉켜 있는 충전선 뭉치가 쏟아졌다. 나는 그 물건들을 손에 들고 황당했었다. 내가 예전에 찾았던 물건들이 들어가 있기도 했으며, 대부분 새것이었다. 이 물건들을 보면서 이런 생각이 들었다. "나는 왜 이렇게 많은 걸 쌓아놓고도, 늘 부족하다고 느꼈을까?"
이젠 더 이상 청소를 미룰 수 없었다. 손에 잡히는 것부터 쓰레기봉투에 담았다. 정리보다 버리기가 먼저였다.
처음부터 미니멀리스트가 되기로 결심한 것은 아니지만, 물건의 개수가 적어지고 기분이 좋아지는 나의 모습을 보면서
미니멀리스트였음을, 그리고 그것을 유지하기로 생각했다. 지금부터 미니멀리스트가 버렸던 물건들을 소개하고자 한다.
미니멀리스트가 버린 첫 번째 물건: 후회로 쌓인 옷장 속 온라인 소비들
서랍 이후로 나가 처음 손을 댄 것은 옷장이다. 문제는 ‘많이 산 옷’이 아니라, 입지 않는 옷들이 너무 많다는 사실이었다. 특히 온라인 쇼핑몰에서 가격이 싸다고 샀던 블라우스. 화면 속 모델은 예뻤지만, 내가 입으니 어깨는 붕 떴고, 내가 생각
했던 것보다 훨씬 어벙했다. 그런데도 한 번 입은 옷을 버리기엔 아까워서 그냥 쌓아만 뒀다.
비슷한 옷이 꽤 있었다. 유행 지난 체크 스커트, 가격이 싸서 골랐지만 한 번 신었더니 발이 아팠던 앵클부츠, 색상만 예뻐서 산데 소재는 까끌거렸던 니트. 나는 스스로에게 물었다. "이 옷들을 입지 않는 이유가 무엇일까?" 그리고 내 자신이 스스로 답했다. "그냥 나와 어울리지 않고 맞지 때문이야."
미니멀리스트가 된다는 건, 결국 지금의 나에게 맞지 않는 걸 인정하고 내려놓는 용기였다. 나와 어울리지 않는 옷들을 전부 버리고 나니 옷장 안에 공간이 남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남는 옷장 공간에는 앞으로 필요 없는 것을 사지 않겠다는 나의
결심으로 가득 찼다.
미니멀리스트가 버린 두 번째 물건: 서랍 속 ‘언젠가’를 위한 전자기기
그다음으로 정리한 것은 전자기기 서랍이었다. 이곳엔 ‘혹시 언젠가 쓸지도 모른다’는 생각으로 남겨둔 부품과 케이블들이 가득했다. 본체가 없는 충전기, 10개 넘는 충전기 단자들, 예전에 사용하였던 휴대폰, 정체불명의 리모컨 2개, 3년 전에 분실된 블루투스 마우스의 USB 리시버까지. 가장 황당했던 것은 가장 공간을 많이 차지하고 있는 아이폰과 아이패드의
종이 박스들이었다. 이 물건들을 정리하면서 한 가지 깨달았다.
"나는 불확실한 미래에 대비하느라, 지금의 나를 계속 방해받고 있었구나."
나는 결국 전자기기 서랍에 가득 쌓여 있는 모든 물건을 버리고, 더 이상 미래의 막연함을 핑계 삼지 않기로 했다.
서랍이 비워졌을 때, 나는 그 공간보다 더 큰 결단력을 얻었다는 걸 알게 됐다.
미니멀리스트가 버린 세 번째 물건: 기대만 남기고 사라진 물건들
진짜 버리기 어려웠던 건 감정이 아니라, 기대였다. 내가 되고 싶었던 모습, 살고 싶었던 장면들이 담긴 물건들이었다.
예를 들어, 갓생을 살고 싶다면서 구매한 고급 노트와 펜, 일찍 일어나 아침 루틴을 실천하겠다며 산 미니 알람시계, 자기 전 나의 건강을 위해 요가를 하겠다며 사두고 펼쳐보지도 않은 요가 매트와 요가링.
이 물건들은 쓴 적도 없지만 버리는 것도 쉽지 않았다. 왜냐하면, 이 물건들을 버리는 건 앞으로의 내 가능성을 버리는 것처럼 느껴졌기 때문이다. 하지만 나는 알게 됐다. 물건이 나의 미래를 만들어주는 게 아니라, 내가 지금 실천하는 행동이 미래를 만든다는 것.
그래서 나는 그 노트를 필요하다고 말하는 친구에게 무료로 선물했고, 매트는 중고 마켓을 통해서 팔았다. 그리고 지금의 나에게 필요한 도구만을 남겼다. 미니멀리스트는 결국, 미래의 나를 위한 공간을 지금의 나로부터 만든다는 사실을 배웠다.
미니멀리스트가 버린 네 번째 물건: 지나간 정보와 소음
마지막으로 정리한 것이자 가장 양이 많은 것은 종이류였다. 생각보다 많은 종이와 정보가 이미 쓸모를 잃었는데도 자리를 차지하고 있었다. 전자기기 사용설명서, 광고 전단지, 기한 지난 쿠폰, 고등학생 때 사용하였던 필기 노트와 프린트, 남겨두었던 영수증, 나의 개인정보가 담겨있다고 판단되어 남겨준 종이들까지. 하지만, 이들은 버리려고 결심하니 쉽게 버릴 수 있었지만 버리기 힘든 것이 하나 있었다. 그것은 책이었다. 표지만 예뻐서 샀던 에세이, 한 챕터 읽고 덮은 자기 계발서,
무료로 선물 받았지만 전혀 공감되지 않아 책장에 방치한 심리책 등이 있었다.
나는 이렇게 정리 기준을 세웠다.
"지금 이 책을 다시 펼칠 의향이 있는가?"
그리고 의외로 대부분의 책이 이 질문에 '아니요'라고 대답했다.
종이류를 파쇄하고, 책을 기부하고 중고 시장을 통해 팔았다. 방에 남아있던 종이류들을 버리고 나니 내 머리가 정리되는
느낌도 많았다. 미니멀리스트가 되는 건, 물건뿐만 아니라 정보의 흐름까지 관리하는 일이었다.
미니멀리스트는 50개의 물건을 버리며 삶을 다듬은 사람이다
내가 이 글을 쓰며 떠올려 본다. 정말 많이 버렸구나.
이건 단순한 비움이 아니라, 나의 삶에서 ‘아니라고 말한 50번의 선택이었다. 지금 여기 그 목록을 남긴다.
이 물건들은 모두 한때는 필요하다고 믿었지만, 지금은 없어도 괜찮다고 생각하게 된 것들이다.
내가 버린 물건 50가지
- 블라우스 3벌
- 어깨 안 맞는 재킷 2벌
- 한 번도 신지 않은 앵클부츠
- 목 늘어난 니트
- 유행 지난 체크스커트
- 미착용 스타킹
- 예쁜데 불편한 니트 원피스
- 고장 난 블루투스 이어폰
- 본체 없는 충전 케이블 3개
- 오래된 태블릿
- 리모컨 2개
- 아이패드, 아이폰 박스
- 전기장판 설명서
- 파손된 스탠드
- 안 켜지는 보조배터리
- 요가링
- 요가 매트
- 미니 알람시계
- 셀프 브랜딩용 무지 노트
- 열지 않은 다이어리
- 기한 지난 쿠폰북
- 여행 팸플릿 5장
- 오래된 처방전
- 개인정보가 담겨있던 안내장
- 한쪽이 끊어졌지만 고치지 않은 선물 받은 팔찌
- 무료 사은품 로션통
- 화장품 샘플 뭉치
- 3년 전 마스크팩
- 닳은 립스틱
- 칠 벗겨진 눈썹 펜슬
- 동아리 회칙 출력본
- 졸업식 안내문
- 다 정리한 플래너
- 버려진 노트북 전원선
- 안 쓰는 스마트워치
- 끊긴 USB
- 읽다 만 자기 계발서
- 표지 예쁜 에세이
- 관계 심리서
- 서평 메모 노트
- 잘 나오지 않지만 언젠가는 나오겠지 싶어서 둔 볼펜
- 예쁘다고 샀지만 한 번도 쓰지 않은 텀블러
- 우리 집 커피 머신과 맞지 않은 커피 필터
- 청소기 여분 필터
- 잘못 산 휴지 케이스
- 자석 훅
- 벽에 못 박다 망가진 시계
- 백화점 쇼핑 후 선물 받은 포장 리본
- 공짜라고 좋아하며 받았던 휴대폰 케이스
- 장식용 쿠션 커버
지금 나는 이 50가지 물건을 기억한다. 하지만 후회는 없다.
왜냐하면 이 물건들을 통해 나는 “내가 무엇을 선택하지 않을 것인가”를 명확히 알게 되었기 때문이다.
미니멀리스트가 된다는 건, 꼭 적게 사는 일이 아니라 많이 비워낸 삶에서 더 정확한 나를 발견하는 과정이었다.
'라이프스타일 - 미니멀리즘'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감정의 여백을 배운 이야기 – 미니멀리즘이 가르쳐준 마음의 공간 (0) | 2025.06.27 |
---|---|
미니멀리즘 실천 후 달라진 나의 루틴, 삶을 다시 설계하다 (0) | 2025.06.27 |
나만의 미니멀리즘 정리 기준 – 버릴 것과 남길 것 (0) | 2025.06.26 |
물건 100개로 살아본 30일 – 실제 도전기 (1) | 2025.06.26 |
미니멀리즘, 내 삶을 되돌아보게 한 계기 - 20대 직장인의 미니멀리즘 도전기 (0) | 2025.06.26 |